내 집 마련의 시작이자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주택청약
많이들 갖고 있을 청약통장
오늘은 주택청약 그리고 기타 용어들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자
주택청약이란?
사전적 정의로는
청약관련 예금을 통하여 일정한 요건을 갖춘 자에게 동시분양되는 아파트에 청약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제도
새로 짓는 아파트에 대한 분양 받을 권리(분양권)를 청약하는 것이 주택청약이다.
분양하는 주택의 종류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국민주택과 민영주택
국민주택이란?
정부(주택공사)나 지자체 주도하에 공공성격을 띄며 국가의 지원을 바탕으로 공급되는 주택들을 말하며
또한 인구 밀집도가 높은 수도권의 경우 전용면적 85㎡이하의 제한과 일부 지방 도시에서는 100㎡까지 허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민영주택이란?
국민주택 이외에는 모두 민영주택이다. 국가의 지원 없이 우리가 흔히 아는 민간기업에서 건설하는 아파트들이며 면적의 제한이 없다.
다음으로는
특별공급과 일반공급이 있다.
국민주택, 민영주택 모두에서 적용되는 방식이다.
특별공급
흔히 말하는 특공 특별공급은 특수한 자격이 있는 대상자만이 청약할 수 있는 주택이다.
여기서 특수한 자격이란 생애최초, 특별공급 등이 있다.
일반공급
일반공급은 추첨제로 진행이 되며
국민주택에서는 비율이 약 15% 정도로 적은 편이며 민영주택에서는 50% 정도 된다.
국민주택 민영주택 모두
청약 당첨 확률을 높이려면 1순위로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1순위 조건에는 예치금, 납입 기간, 횟수 등이 존재한다.
지역, 주택의 공급형태 등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때문에
꼼꼼하게 잘 알고 준비해야 한다.
다음에 알아보자!!!
'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용어 정리 #4] 비슷하지만 다른 재개발·재건축 차이점 (0) | 2022.08.28 |
---|---|
[부동산 용어 정리 #3] 용적률·건폐율 의미와 관계 (0) | 2022.07.10 |
[부동산 용어 정리 #1] 주택담보대출용어 알아보기 LTV·DTI·DSR 뜻 (0) | 2022.05.10 |
브랜드 마케팅 vs 퍼포먼스 마케팅 뗄 수 없는 관계 (0) | 2021.03.21 |
iptime 비밀번호 설정/초기화 초간단 방법 (0) | 2021.03.20 |